우리나라는 식료품 가격이 비싸기로 유명하다.
물가가 비싸기로 유명한 스위스에 이어 2위를 기록할 정도로 비싸다.

왜 이렇게 식료품 가격이 비쌀까?
다들 아는 바와 같이 우선 유통구조가 복잡하다.

유통구조가 복잡한 게 이유라면 유통구조를 간소화하면 될일 아님?
이렇게 생각하기 쉽지만
그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우선 우리나라는 경자유전 원칙에 따르기에 농가 규모가 영세할 수 밖에 없다.
무려 헌법에 경자유전의 원칙이 박혀있는 나라임 ㅎㄷㄷ

농가 규모가 영세하니
대량생산, 대량유통하는 규모의 경제가 이루어지기 어려움

결국, 농사꾼들은 동네 쌀집 아저씨한테 쌀을 팔 수 밖에 없고,
동네 쌀집 아저씨는 조금 더 큰 읍내 쌀집 아저씨한테 쌀을 팔 수 밖에 없고
읍내 쌀집 아저씨는 조금 더 큰 도내 쌀집 아저씨한테 쌀을 팔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는 것임
(유통구조가 복잡해지는 이유)
미국과 비교해보자.
끝없는 평야를 하나의 회사/가문이 농사를 짓는다.
대규모로 농사를 지으니
대형 유통사와 거래만 한번 트기만해도
규모의 경제가 이루어진다.
위의 한국의 수확 모습과는 천지차이 아닌가?



경자유전의 원칙에 따른 영세 농가 위주의 농업전략을 펼치는 한
유통구조를 간소화하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또 한가지 간과하는 문제: 한국은 농업/목축업하기에 부적합하다
우리 나라의 토지는 비옥하지 못하다.
애초에 비옥하지 못한 땅에서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니 당연히 생산원가가 비쌀 수 밖에 없다.
거기에 영세농업위주이니...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면서 더더욱 생산원가가 비싸진다.
다른 나라는 얼마나 비옥한지 알아보자
아르헨티나: 팜파스
드넓은 평원과 목초지가 보이는가?
그냥 풀어두면 스트레스 받지않고 살찌는 동네임
여기서 얻어지는 밀, 소고기, 양고기로 아르헨티나 인구 전체가 먹고 남아서
대량 수출한다고 한다.


터키: 아나톨리아 반도
여기도 매우 비옥하다.
가축도 잘자라고 곡식도 잘자라는 비옥도를 자랑한다
고대부터 비옥한 땅으로 유명하며, 인구 8천만의 터키에 식량자급률은 100%를 기록한다고 알려졌다.


이집트: 나일강 삼각주
사진만 봐도 얼마나 비옥한지 알 수 있다.
이집트는 사막이지만 인구 1억을 넘기고 출산율이 3에 육박하는 나라이다.
먹고 사는 문제는 돈이 아니라 땅의 비옥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캐나다: 중부 대평원 지대
축척을 보면 알겠지만 가로 길이 1200km에 육박하는 엄청난 면적이
씨 뿌리기만하면 곡식이 자라는 비옥도를 자랑하는 곳이다.


프랑스: 국토 전체가 곡창지대라고 보면된다
식량 자급률이 무려 300%라고 한다
그냥 프랑스는 평야 밖에 없다.
근데 그 땅이 무척 비옥하기까지 하다


미국: 그리고 이 분야 가장 유명한 미국
방장 사기맵을 쓰는 미국의 힘은 토지의 비옥함도 압도적이다.
위에 나열한 곡창지대를 모두 합쳐도 미국 중부의 생산량에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ㅎㄷㄷ


그런데 우리나라는?
다들 알다시피 국토 70%가 산지이다.
아무리 찾아봐도 평야는 극소수이다.

비옥도 또한 7등급이 대부분이다.(총 9등급 중 7등급)
그러니 원활한 생산을 위해 비료도 많이 써야하고
손도 많이가고 관리도 꾸준히 해주어야한다.
곡창지대에 비해 엄청나게 생산원가가 올라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 이 땅에 태어나서 살고 있는 한
경자유전의 원칙이 없어져 대기업이 농업에 뛰어들고
대기업이 유통을 대규모로 하지 않는 한
식료품 가격은 낮아질 수 없음을 받아들이는 것이 마음 편한 일이다.
'5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맵이 꿀인 이유_자동차보험 할인 혜택_네이버는 왜 없어? (0) | 2023.12.12 |
---|---|
청양고추의 원초는 청양이 아니다?(f. 청송과 영양) (2) | 2023.12.11 |
중국에 다시 폐렴이 돈다? 제2의 코로나 확산이냐?(f.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1) | 2023.12.04 |
술마시면 왜 졸린 걸까? 왜 피곤한 걸까? (2) | 2023.11.29 |
잠실이 강북이었다고? 을축년 홍수와 잠실, 석촌호수 싱크홀 이야기 (1)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