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식료품 가격이 비싼 이유: f. 유통구조 + 토지의 비옥도
본문 바로가기
5분 상식

우리나라 식료품 가격이 비싼 이유: f. 유통구조 + 토지의 비옥도

by 현자업맨 2023. 12. 11.

우리나라는 식료품 가격이 비싸기로 유명하다.

 

물가가 비싸기로 유명한 스위스에 이어 2위를 기록할 정도로 비싸다.

 

왜 이렇게 식료품 가격이 비쌀까?

 
다들 아는 바와 같이 우선 유통구조가 복잡하다.

한경

유통구조가 복잡한 게 이유라면 유통구조를 간소화하면 될일 아님?
이렇게 생각하기 쉽지만
그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우선 우리나라는 경자유전 원칙에 따르기에 농가 규모가 영세할 수 밖에 없다.
무려 헌법경자유전의 원칙이 박혀있는 나라임 ㅎㄷㄷ

농가 규모가 영세하니 
대량생산, 대량유통하는 규모의 경제가 이루어지기 어려움

한국경제/한국의 수확모습

결국, 농사꾼들은 동네 쌀집 아저씨한테 쌀을 팔 수 밖에 없고, 
동네 쌀집 아저씨는 조금 더 큰 읍내 쌀집 아저씨한테 쌀을 팔 수 밖에 없고
읍내 쌀집 아저씨는 조금 더 큰 도내 쌀집 아저씨한테 쌀을 팔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는 것임
(유통구조가 복잡해지는 이유)
 
미국과 비교해보자.
끝없는 평야를 하나의 회사/가문이 농사를 짓는다.
대규모로 농사를 지으니 
대형 유통사와 거래만 한번 트기만해도
규모의 경제가 이루어진다.
 
위의 한국의 수확 모습과는 천지차이 아닌가?

미국의 대량 경작 및 수확

 
경자유전의 원칙에 따른 영세 농가 위주농업전략을 펼치는 한
유통구조를 간소화하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또 한가지 간과하는 문제: 한국은 농업/목축업하기에 부적합하다

 
우리 나라의 토지비옥하지 못하다.
애초에 비옥하지 못한 땅에서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니 당연히 생산원가가 비쌀 수 밖에 없다.
 
거기에 영세농업위주이니...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지 못하면서 더더욱 생산원가가 비싸진다.
 
다른 나라는 얼마나 비옥한지 알아보자
 

아르헨티나: 팜파스

드넓은 평원과 목초지가 보이는가?
그냥 풀어두면 스트레스 받지않고 살찌는 동네임
여기서 얻어지는 밀, 소고기, 양고기로 아르헨티나 인구 전체가 먹고 남아서
대량 수출한다고 한다.

인터넷 커뮤니티 펌

 

터키: 아나톨리아 반도

여기도 매우 비옥하다.
가축도 잘자라고 곡식도 잘자라는 비옥도를 자랑한다
고대부터 비옥한 땅으로 유명하며, 인구 8천만의 터키에 식량자급률은 100%를 기록한다고 알려졌다.

 

이집트: 나일강 삼각주

사진만 봐도 얼마나 비옥한지 알 수 있다.
이집트는 사막이지만 인구 1억을 넘기고 출산율이 3에 육박하는 나라이다.
먹고 사는 문제는 돈이 아니라 땅의 비옥도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캐나다: 중부 대평원 지대

축척을 보면 알겠지만 가로 길이 1200km에 육박하는 엄청난 면적이
씨 뿌리기만하면 곡식이 자라는 비옥도를 자랑하는 곳이다.

 

프랑스: 국토 전체가 곡창지대라고 보면된다

식량 자급률이 무려 300%라고 한다
그냥 프랑스는 평야 밖에 없다.
근데 그 땅이 무척 비옥하기까지 하다

 

미국: 그리고 이 분야 가장 유명한 미국

방장 사기맵을 쓰는 미국의 힘은 토지의 비옥함도 압도적이다.
위에 나열한 곡창지대를 모두 합쳐도 미국 중부의 생산량에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ㅎㄷㄷ

인터넷 커뮤니티

 

그런데 우리나라는?

다들 알다시피 국토 70%산지이다.
아무리 찾아봐도 평야는 극소수이다.
 

비옥도 또한 7등급이 대부분이다.(총 9등급 중 7등급)
그러니 원활한 생산을 위해 비료도 많이 써야하고
손도 많이가고 관리도 꾸준히 해주어야한다.
곡창지대에 비해 엄청나게 생산원가가 올라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니 이 땅에 태어나서 살고 있는 한
 
경자유전의 원칙이 없어져 대기업이 농업에 뛰어들고 
대기업이 유통을 대규모로 하지 않는 한 
식료품 가격은 낮아질 수 없음을 받아들이는 것이 마음 편한 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