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파면 수소가 나온다고? 화이트 수소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5분 상식

땅파면 수소가 나온다고? 화이트 수소 이야기

by 현자업맨 2023. 11. 21.

요즘 핫한 이슈인 화이트 수소 이야기를 해볼까한다.

 

땅만 파면 천연 수소(화이트 하이드로겐, 화이트 수소)가 나오는 것!

 

수소가 땅 파면 나오는게 뭐 어때서?

 

수소는 우주에서 가장 풍부하면서 가장 가벼운 원소이다.

게다가 수소는 핵융합의 주요 요소가 될 정도로 연료로서의 효용이 높기에 화석연료를 대체할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음

 

그러나 수소는 너무 흔하지만, 너무 가볍고, 너무나도 다른 원소와 결합을 쉽게해버리기에 자연상태에서 순수한 수소형태로 있기 어렵다고 여겨왔음

 

그런 수소가 땅을 파면 나온다니?

인류 에너지의 역사를 진일보시킬 수 있는 위대한 발견일지도 모를 일임

 

 

왜 화이트 수소인가?

 

수소는 여러가지 색깔로 분류한다

수소 자체에 색깔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편의에 따라 분류하는 네이밍을 "색깔"로 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만들어내는 것을 가정하고 접근한다.

즉, 전기분해를 위한 원료가 친환경이면 그린 수소, 천연가수+가스태우면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면 블루 수소, 화석연료를 태우면 브라운 이나 그레이로 불러왔다.

(좌) 효성그룹 / (우) 한겨레

그렇다면 화이트 수소란 무엇인가?

 

수소는 다른 원소와 쉽게 결합하기에 순수한 수소 원소로 만드려면 분자를 분해하여 수소원소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게 학계의 정설이었으나,

 

땅에서 수소가 만들어지고 특정 지층내에 수소들이 갇혀있음을 알게됨!

즉, 어떠한 추가 에너지를 없이 수소를 그냥 석유나 천연가스처럼 캐내기만 하면 되는 것임

 

그 이전까지는 수소는 너무나도 가볍기에 땅속 어딘가에 고여있을 것이라고는 상상도 못했던 것이다!

 

이렇게 수소전에서 직접 캐낸 수소를 화이트 수소로 부르고 있음

 

 

화이트 수소는 어디서 나오는가?

 

화이트 수소는 2012년 서아프리카 말리에서 물을 얻고자 시추공을 뚫다가 발견하게됨

심지어 이 시추공에서 나온 가스를 확인해보니 98%가 석유로 이루어져있음을 알게됨

그러나 말리는 내전상태로 빠지고, 코로나 등 사태가 터지면서 수소전에 대한 연구를 못하다 얼마전에 재개하게됨

 

월간수소경제

 

실제로 수소전은 지구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 최근 연구 결과인 것으로 보임

 

튀르키예에서도 수천년동안 불이 꺼지지 않는 바위가 있는데 가스 중 일부가 수소였음

모스크바 남동부에는 요정 서클(페어리 서클)이라는 불모지가 있는데

울창한 수풀 한 가운데에 풀이 자라지 않는 빈땅이 있다.

이 곳을 사람들은 요정의 장난으로 생각했으나, 수소가 계속 올라와서 식물이 죽는 것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땅이 브라질, 캐나다, 호주, 나미비아에도 발견되고 있다. 

https://www.renewablematter.eu/

 

 

심지어 계속 리필/자연충전 된다고?

 

비전공자 입장에서 쉽게 이해한대로 써보자면

지구 내부에 맨틀은 철성분이 풍부함

철은 녹이 잘 슬음 -> 철은 산소를 좋아하는 특징이 있음

맨틀과 물이 만나는 깊은 지층에서 철성분이 물의 산소를 뺏으면서 수소만 남게됨

수소는 가볍기에 깊은 지층에서 지표로 점점 올라옴

그러다 퇴적암층에서 어떠한 이유로(소금층 등 가로막는 층이 있는 경우) 수소가 쌓이게 됨

 

그러니까 수소는 지구 내부의 활동에 의해 계~속 쌓이게 되는 것임!

매년 9천만톤의 수소가 쌓이고 있다는 추정도 있다.

 

과학자들의 계산상으로는 인류가 써도 써도 계속 자연충전되는 정도의 양이라고 함 ㅎㄷㄷ

한겨레

 

우리나라도 드디어 산유국? 아니 산수국(수소가 생산되는 나라)?

 

지구 곳곳에서 수소가 생산된다면 

과연 우리나라에서도 수소가 나오는 것일까?

 

일단, 현재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아직 수소가 안나온다.

 

다만, 중국 산둥반도, 러시아 연해주, 일본 열도 등 한반도 인근에서도 수소전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들이 다수 분포하고 있음

 

이에 우리나라 석유공사에서도 수소전을 찾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실제로 2022년 육상에서 수소탐지하는 기술을 특허를 출원하고 지표 조사를 하고 있다. 

가스신문

과연 우리나라도 에너지 자립을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아주아주 초기단계로 경제성이 진짜 있는지

수소는 어떻게 운반할것인지 등등 해결해야할 사항이 매우 많지만

절대 잊지말고 관심을 가져야할 이슈임에 분명하다.

 

그리고 좀더 멀리바라보자면

 

현대차와 토요타가 수소 경제를 구축했을때 모빌리티에서 가장 앞서가는 기업인데

동아시아에 한번 더 기회가 찾아올지 주목해보자

나무위키

 

반응형